진단검사의학이란

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

  •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란?

    진단의학검사가 성공적으로 달성될 수 있도록 진단의학검사실을 운영하고 관리할 뿐만 아니라 진단검사와 관련된 업무를 총체적, 전문적으로 수행1하는 전문 의료인을 뜻한다. 진단검사의 목적인
    1) 진단 및 감별진단
    2) 질병 중등도 및 경과 판단을 통한 치료방향 결정
    3) 예후 판정
    4) 건강검진이나 선별 검사를 통한 질병 발견 또는 예방
    5) 치료 효과의
    추적 관찰에 있어서 임상의사와와의 협의 진료를 중재한다. 즉, 검사의 선택 및 의뢰시점부터 검체 채취 및 취급, 검체 접수부터 분석과정, 해석, 결과 관리 및 이용에 이르기까지 전체 검사 과정에 대한 이해와 종합적인 질 관리의 토대위에서 임상의와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검사가 선택 및 이용될 수 있도록 협진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. 또한 종합검증 시행을 통하여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에 의한 검사의 질 관리, 정도관리와 종합적인 검증 및 판독이 이루어지게 된다.

  •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가 되는 과정

   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도 다른 임상과 전문의와 동일한 교육 및 수련 과정을 거쳐 탄생하게 된다. 우선 정규 의과대학 6년과정을 졸업한 후 의사면허를 취득해야 한다. 인턴 과정 1년후 진단검사의학을 전공으로 한 레지던트 4년 과정을 수료하여야 한다. 레지던트 과정 중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로서 갖추어야 할 필수 수련 목표를 이수하여야 하고 수료 후 국가에서 시행하는 전문의 자격시험을 통과하여야 비로소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로서 인정받게 된다.

  •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의 활동, 근무영역

    1. 의료 기관: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, 진단검사의학 검사실 개원의
    2. 대학: 진단검사의학교실 교수
    3. 수탁검사기관 전문의
    4. 혈액원
    5. 의료 관련 사업체 (시약, 장비 관련 회사, 제대혈은행, 의료 벤처 업체 등)